본문 바로가기
한국말

[맞춤법] 그러든지 vs 그러던지 – 어떤 표현이 맞을까?

by 컴밥 2025. 5. 21.
728x90
반응형

일상에서 종종 쓰는 표현 중에 “그러든지 말든지 네 마음대로 해”처럼
상대방에게 무심한 태도를 표현할 때, 문장을 쓸 일이 생기죠.

그런데 이럴 때 헷갈리는 표현이 있습니다.
바로 ‘그러든지’와 ‘그러던지’입니다.

둘 중 어떤 표현이 맞는 걸까요? 문법적으로 정확히 살펴보겠습니다.

 

 

정답은 ‘그러든지’입니다

‘그러든지’는 표준어로 인정된 정확한 표현입니다.
반면 ‘그러던지’는 문법적으로 어색한 표현으로,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등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즉, 글을 쓸 때는 무조건 ‘그러든지’를 써야 맞습니다.

“그러든지”는 ‘네가 그러한 선택을 하든지 말든지’의 줄임말이라고 이해할 수 있어요.

 

‘그러던지’는 왜 틀렸을까?

‘그러던지’는 많은 사람들이 말할 때는 자연스럽게 들릴 수 있지만,
문법적으로는 성립하지 않는 표현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그러다’ + ‘-던지’ 형태로 분석하면
    ‘-던지’는 과거를 회상하거나 의문을 나타내는 어미인데,
    명확한 선행사 없이 쓰이면 문장이 어색해집니다.

 

비슷한 표현과 비교해보세요

한국어에는 비슷하게 헷갈리는 어미들이 많습니다. 아래 예시도 참고하세요.

  • 하든지 (O) vs 하던지 (X)
  • 먹든지 (O) vs 먹던지 (X)
  • 그러든지 (O) vs 그러던지 (X)

 

‘-던지’는 보통 과거의 사실을 떠올릴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 어디서 봤던지 기억이 안 나.
  • 누가 그랬던지 정확히는 모르겠어.

이런 경우에는 ‘-던지’가 맞습니다, 하지만 선택/허용 표현에서는 ‘-든지’가 정답입니다.

 

그러든지 vs 그러던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