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14 Spring Data JPA vs MyBatis – 언제 어떤 걸 선택할까 Spring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은 필수입니다. 이때 주로 사용하는 기술이 바로 Spring Data JPA와 MyBatis입니다. 두 기술 모두 널리 사용되지만 접근 방식과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적절한 선택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기술의 차이점과 선택 기준을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Spring Data JPA란?Spring Data JPA는 Java Persistence API(JPA)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Spring 모듈입니다.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객체와 테이블 간 매핑을 통해 SQL을 직접 작성하지 않고도 데이터베이스를 다룰 수 있습니다.- 주요 특징Repository 인터페이스만.. 2025. 5. 9. Spring WebSocket으로 실시간 채팅 구현하기 – 기초부터 예제까지 실시간 채팅은 많은 웹 서비스에서 중요한 기능입니다. 고객 상담, 협업 툴, 소셜 네트워크 등 사용자 간의 빠른 소통이 필요한 곳이라면 반드시 고려해야 할 기술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Spring WebSocket을 활용해 기본적인 실시간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코드는 단순하게, 이해는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WebSocket이란?WebSocket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기존 HTTP는 요청/응답 기반이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매번 요청을 보내야 서버가 응답할 수 있습니다. 반면 WebSocket은 연결이 한 번 맺어지면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자유롭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Spring에서 WebSocket 지원Spring에서는.. 2025. 5. 8. Spring Bean 커스터마이징 방법 – 생명주기 제어하기 스프링을 사용하다 보면 기본적인 Bean 관리만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생깁니다.예를 들어, Bean 생성 직후 또는 소멸 직전에 추가 작업을 하고 싶을 때가 그렇죠.이럴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로 Spring Bean 커스터마이징입니다. 1. 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 인터페이스 사용하기Spring은 생명주기 제어를 위해 특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InitializingBean: 빈이 생성되고 의존성 주입이 끝난 후 동작할 초기화 로직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DisposableBean: 빈이 소멸될 때 정리할 로직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예시 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Componentpublic class MyBean implements InitializingBean, D.. 2025. 4. 28. Spring Bean의 개념과 생명주기 – 객체는 누가 만들고 누가 관리할까 스프링(Spring) 개발을 시작하면 가장 먼저 듣게 되는 단어 중 하나가 Bean(빈)입니다. 그런데 "Bean이 뭘까?", "누가 만들고, 누가 관리하는 걸까?" 하는 궁금증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Spring Bean의 개념과 생명주기를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Spring Bean이란 무엇인가?Spring Bean이란 Spring IoC(제어의 역전) 컨테이너에 의해 생성되고, 관리되는 객체를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일반적으로 우리가 new 키워드로 직접 생성하는 객체를 스프링이 대신 만들어 관리해주는 것입니다.Spring은 이런 방식으로 객체들을 관리하면서 개발자가 객체 생성, 의존성 주입, 소멸 과정을 일일이 신경 쓰지 않고 비즈니스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Sp.. 2025. 4. 28. 스프링 시큐리티(Spring Security)란? 우리가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 보면 인증(Authentication)과 권한(Authorization) 관리는 필수입니다. 스프링 시큐리티는 바로 이 인증과 권한을 처리하는 강력한 보안 프레임워크입니다. 스프링 생태계와 밀접하게 통합되어 있어, 스프링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사실상 표준처럼 사용됩니다. 스프링 시큐리티가 해결하는 문제스프링 시큐리티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로그인 및 로그아웃 처리사용자 권한 기반 접근 제어세션 관리CSRF, XSS 같은 보안 위협 방어OAuth2, JWT 등의 인증 방식 지원복잡한 보안 로직을 직접 구현하는 대신, 스프링 시큐리티가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면 훨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기본 동작 흐름스프링 시큐리티는 필터 기반의 .. 2025. 4. 25.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와 Spring Cloud 웹 서비스가 커지면 유지보수와 확장성에 어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가 바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입니다. 이 글에서는 마이크로서비스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Java 기반의 Spring Cloud로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란 무엇인가?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애플리케이션을 작고 독립적인 서비스 단위로 쪼개서 개발하는 방식입니다. 각각의 서비스는 독립적으로 배포되고, 고유한 데이터베이스와 비즈니스 로직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쇼핑몰 서비스를 만든다면 결제 서비스, 주문 서비스, 상품 관리 서비스가 각각 분리된 형태로 존재하게 됩니다.이 방식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서비스별 독립 배포 가능장애 발생 시 다른 서비스에 .. 2025. 4. 25. Spring에서 인터셉터 사용하기 – 인증, 로깅 등에 활용하는 방법 Spring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 보면 요청(request)이 컨트롤러에 도달하기 전이나 응답(response)이 클라이언트로 전달되기 전에 어떤 로직을 삽입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바로 인터셉터(Interceptor)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스프링에서 인터셉터가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실제로 인증, 로깅 등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소개해보겠습니다. 인터셉터란?인터셉터는 HandlerInterceptor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정의합니다.이는 DispatcherServlet이 컨트롤러에 요청을 전달하기 전/후, 뷰 렌더링 전에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로채기(Interceptor) 기능입니다.서블릿 필터(Filter)와 유사하지만, 보다.. 2025. 4. 25. Spring에서 프로퍼티 파일 다루기 – application.properties와 application.yml Spring 프로젝트를 구성하다 보면 설정값을 외부 파일로 관리할 일이 많습니다.DB 접속 정보, API 키, 포트 번호, 커스텀 설정 등 코드와 분리해야 할 설정들은 대부분 프로퍼티 파일에 작성됩니다.Spring에서는 이러한 설정을 application.properties 혹은 application.yml 파일을 통해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두 설정 파일의 차이, 사용법, 그리고 커스텀 프로퍼티를 다루는 방법까지 소개하겠습니다. application.properties란?기본적으로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src/main/resources 경로 아래에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이 생성됩니다.이 파일은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기본 설정.. 2025. 4. 23. Spring Boot VS Spring Framework 차이점 Spring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이나 백엔드 API 서버를 만들다 보면 가장 먼저 듣게 되는 용어가 바로 Spring Framework와 Spring Boot입니다.이 두 가지는 같은 "Spring"이라는 이름을 공유하지만, 실제 개발 경험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입니다.많은 초보 개발자들이 “Spring과 Spring Boot는 뭐가 다르지?”, “Spring Boot가 더 좋은 거야?”라는 질문을 하곤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둘의 차이를 쉽고 명확하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Spring Framework란?Spring Framework는 2000년대 초반부터 존재해온 자바 기반의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입니다.스프링은 느슨한 결합(Loose Coupling)과 의존성 주입(Dependency .. 2025. 4. 22. 이전 1 2 다음